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만우절은 왜 생겼을까?

반응형

만우절은 왜 생겼을까? 여러 사람들은 만우절이라는 날을 이용하여 친구들과 재밌는 농담이나 거짓말을 하고 깜짝 몰래카메라와 같은 행위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만우절이라는 날을 빌미로 매우 심한 장난을 치는 경우도 있다 보니 항상 이슈가 생기는 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4월 1일 매년 찾아오는 만우절은 왜 생겼고, 각 나라들마다 만우절을 어떻게 대하는 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우절은 왜 생겼을까?

만우절이라는 날이 생긴 이유에 대해서 명확한 것은 없지만 나라마다 대표적인 설이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몇몇 나라들의 만우절이 생긴 이유가 나오는 것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중세 유럽의 어릿광대 축제 : 중세 시대 유럽에서는 가난한 사람들이 부자들을 놀리거나 가짜 왕으로 추켜세우는 축제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축제가 시간이 지나면서 만우절로 발생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프랑스 달력 개정 : 16세기 프랑스에서는 새해를 4월 1일에 기념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프랑스의 역사는 1564년 '샤를 9세'가 새해 기념일을 1월 1일로 변경하였지만 당시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4월 1일을 새해로 축하했고, 이러한 어원을 빌미로 장난을 치는 풍습이 생겼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고대 로마와 인도의 축제 : 고대 로마에선 '히라리아'라는 추제가 있었고, 인도에서는 '홀리'라는 색을 뿌리는 축제가 3월에서 4월 사이에 열렸습니다. 이러한 장난을 즐기는 문화가 오래전부터 존재했고 이러한 것들이 만우절의 기원과 연관되어 있다는 말도 나오기도 합니다.

만우절은 왜 생겼을까

나라마다 약간씩 다른 만우절 문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만우절은 모두 존재합니다. 나라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모두 장난을 치는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 국의 만우절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대한민국 : 학교나 직장 또는 친구들과 있을 때 가벼운 거짓말로 장난을 치며, 기업 또는 방송국, 게임을 통해 패러디나 이색 캐릭터로 재미를 주기도 합니다.

프랑스 : 프랑스에서는 물고기 그림을 친구나 가족 등에 붙이는 장난을 친다고 합니다. 만약 물고기 그림을 발견하지 못하면 4월의 물고기가 된다고 합니다.

미국 : 미국에서는 언론이나 기업들이 거대한 장난을 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예를 들면 구글에서 가짜 신기술 발표, 구글 지도에서 포켓몬 잡기라고 발표를 하며, 스케일이 큰 장난을 친다고 합니다.

만우절은 웃음을 주자는 의미로 장난을 치곤 하지만 간혹 너무 심한 장난으로 불쾌감을 주거나 피해를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우절이라는 날을 빌미로 생각보다 심한 장난을 치는 것은 매우 불필요한 자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상대방에게 타격 없는 말로 하는 가벼운 농담 및 장난은 괜찮지만 사고나 이별, 물리적인 위험이 따르는 행위로 장난을 치는 것은 매우 좋지 않은 행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우절을 즐거운 날로 인식하자

앞서 말씀드렸듯이 지켜야 할 선을 명확하게 하여 장난을 친다면 누구나 웃으면서 재밌게 보낼 수 있는 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선을 지키지 않고 장난을 친다면 만우절은 더 이상 즐거운 날이 아닌 불쾌한 날로 인식이 될 수 있습니다. 피곤하고 힘든 일상 속에서 잠시나마 어린 시절이 기억될 수 있는 즐거운 날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만우절이라는 날을 잘 이용하여 재밌는 날 그리고 추억의 시간이 만들어지는 날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